커피업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데요.
금일 보도된 중앙일보에서는 커피업계 경쟁에
대해 보도되었습니다. 살기 팍팍한 지금
자영업은 더더욱 힘들어지네요.
중앙일보 기사내용
최근 커피 업계는 ‘초가성비 전쟁’을 벌이고 있다. 아메리카노 한 잔 값을 1500원에서 900원까지 낮춘 커피 전문 프랜차이즈가 등장한 데다 1300원대 편의점 원두커피, 2000~3000원대 편의점 즉석음료(RTD)까지 가세하면서다.
16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가장 많은 신규 개점을 한 커피 브랜드는 아메리카노 한 잔을 1500원 전후에 파는 ‘메가커피’(397곳) ‘컴포즈커피’(337곳) 등 저가 프랜차이즈였다. 지난 2018년 신규 개점 1·2위였던 ‘이디야’(298곳) ‘투썸플레이스’(165곳)가 3000~4000원대였던 것과 비교해 저가 커피 브랜드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경기도 중소도시 오피스 상권에서 카페를 운영했던 A씨의 한 달 정산서를 재구성해봤다. 아메리카노 기준 2500원에 판매했다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1500원으로 가격을 내린 곳이다. A씨에 따르면 1500원 아메리카노는 원두 500원, 컵과 홀더·빨대 등 부자재 100원 등 원가가 600원대다. 여기에 부가세 150원을 제외하면 이 한 잔을 팔아서 남기는 이윤이 750원이다. 중저가 커피의 경우 원두는 1㎏에 1만원대 중후반 혹은 2만원대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피 한 잔에 원두를 20g가량 사용하니까 40~50잔 정도를 내릴 수 있다.
기본 메뉴인 아메리카노를 주력으로 판매한다고 했을 때 1500원 커피는 하루 200잔을 팔아도 매출이 30만원 남짓이다. 잔당 750원을 남길 경우 월 수익(영업일 22일 기준)은 330만원이다. 이곳 56㎡(약 17평) 매장의 월세는 110만원, 관리비·운영비가 월 65만원이 든다.
관리비·운영비에는 상가 관리비와 수도·전기료·인터넷 등 공과금 50만원, 정기 소독 5만원, CCTV 6만원, 포스기 대여료 3만원 등이 포함된다. 고정비용만 175만원쯤 나가는 셈이다. 점주 혼자서 운영한다고 하면 200잔을 팔았을 때 155만원이 남는 셈이다.
물론 200잔 이상으로 박리다매를 한다면 더 많이 가져갈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박리’는 정해져 있는데, ‘다매’하기는 쉽지 않다. 백영현 서울 서대문 브로든커피 대표는 “무작정 매출이 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며 “한 달에 1000만원 매출까지는 1인 점주도 가능하지만, 1200만원만 넘어가면 혼자서는 운영이 불가능하다. 그만큼 수익이 줄어드는 구조”라고 말했다.
최근 높아진 인건비도 발목을 잡는다. 한 전직 카페 업주는 “하루 30만~50만원 매출을 위해 커피 200잔을 내리는 것은 생각보다 중노동”이라며 “아르바이트를 쓰려고 해도 주휴수당 포함해 시급 1만원에 육박하는 인건비가 부담”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주휴수당이 부담돼 주 16시간이 넘지 않도록 하루 4시간씩 3일 일하는 식으로 근무시간을 쪼개는 업주들도 많다. 이럴 경우 적당한 인력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
커피전문점 자영업자의 방향은?
사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정말 커피를 사랑하는 국민입니다. 언제부터 인지 몰라도 커피전문점은 길거리에 편의점만큼 있는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커피전문점 창업을 합니다.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인 것 같아요. 예전에 저도 멋진 카페를 하나 만들어서 우아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상상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카페는 대개 바쁘고 치열합니다. 하루종일 커피 제조해야하고, 설거지해야하고 정신이 없죠. 아르바이트생 뽑아서 쓰면 인건비로 많이 나가기 때문에 이또한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문제는 여기서 다가 아닙니다. 너무 많은 커피전문점으로 출혈경쟁이 시작된다는 것이죠. 특히 저가형 프렌차이즈가 한 몫을 더하는 것 같습니다. 경기가 좋지않아 사람들이 조금 더 저렴한 커피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니깐요. 물가는 오르고 입금은 오르지 않으니 이런 상황은 가속될 것 같습니다.
커피전문점, 카페를 해도 될까?
경쟁이 심한 만큼 아이디어와 인테리어로 독창성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스타벅스처럼 상권을 분석하여 그 지역에 맞는
인테리어를 조성하는 것처럼 맞춤형 배치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블로그나 인스타, 유튜브에 핫플레이스로 등극하면 더많은 손님을 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커피만 아니라 맛있는 케익이나 빵을 판다면 더더욱 입소문이 나겠죠?
말은 쉽지만, 막상 준비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노력하는 모두 행복했으면 합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바타1편과 아바타2편 줄거리 (0) | 2023.03.21 |
---|---|
스타일러 장단점 알려드립니다. (0) | 2023.03.05 |
마우스 자가 수리_휠 고장 시 (3) | 2023.03.01 |
성교육에 필요한 성병 정보 모음 (0) | 2023.03.01 |
와인잔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 | 2023.02.28 |